인사말

존경하는 한국칸트학회 회원 여러분께

안녕하십니까?
이번에 한국칸트학회 제15대 회장(2025년 1월~2026년 12월)을 맡게 된 김한라(서강대 철학과)입니다. 먼저 의료대란과 계엄 등 어려운 현실 속에서도 칸트학회 발전을 위해 애써주시고 특별히 칸트 탄생 300주년(2024년) 기념 국제학회를 성공적으로 마칠 수 있도록 도와주신 전임 임원진과 회원 여러분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한국칸트학회는 1990년에 창립되어 발전을 거듭하여온 ‘청년’ 학회입니다. 학술공동체를 둘러싼 이제까지의 여러 고충과 상황을 고려하면 30여 년이라는 이러한 역사적 전통을 쌓아가는 것은 참으로 자랑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무엇보다도 학회의 이러한 오늘이 있게 하는 데 초석이 되신 선배 회원님께 진심으로 고마움과 존경의 뜻을 전하고 싶습니다

한국칸트학회는 을사년을 기점으로 다시 한번 의지와 힘을 모을 때라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 현재 국내에서 꾸준히 성장해 온 대륙 중심의 칸트학에다 영미 칸트학의 방법론과 내용을 첨가하고 문헌학의 내실 있는 기반 위에 한반도에서의 전통에 뿌리를 둔 새로운 칸트적 사유를 계발할 수 있도록 대담한, 진취적 사고를 진작하며, 마지막으로 아시아 등 이웃들과 국제 교류를 추진하여 한국칸트학회를 국제 지도상에 올려놓는 것을 목표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제 임기 안에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일은 지난 반세기 간 한반도에서 이루어진 칸트 연구의 정수를 모아 간행하고 또 영역으로도 “Korean Studies in the philosophy of Kant”를 출판하는 것입니다. 또 점점 더 세계적 수준의 칸트학에 근접하여 나아가는 학문후속세대의 작업과 성과를 계속적으로 지원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칸트학회가 그동안 해온 핵심적인 학술사업인 학술대회 개최와 학술지 간행이 지속적으로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자 합니다. 회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여러 가지로 부족한 점이 많은 저이지만 우리 회원 여러분의 지혜와 역량을 믿고 ‘한국칸트학회’라는 깃발을 높이 들고 앞장서서 가도록 하겠습니다. 회원 여러분의 아낌없는 성원과 도움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25년 1월

한국 칸트학회 회장 김한라
하선규·임성훈(부회장)
정제기(총무), 이철우(연구), 홍우람(편집), 이혜진(학술교류)